<항목 ID="GC80001321" 유형="일반항목" 레벨="6"> <항목명> <대표항목명><인명 검색="1" 검색어="이후락" 식별자="이후락">이후락 <한글항목명>이후락 <한자항목명>李厚洛 <영문항목명> <공식명칭>I Hurak <중국어항목명 /> <중문항목명> <메타데이터> <이칭별칭>우석(又石) <키워드>중앙정보부장|대통령 비서실장|국회의원|박정희|울산육영회 <대표분야>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대표유형>인물/인물(일반) <표준지역>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표준시대>현대 <분야>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인물/인물(일반) <지역>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 <시대>현대/현대 <집필자>강석헌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출생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출생" 비고="">1924년 2월 23일<시간 식별자="울산:이후락 출생" />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수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울산농업고등학교 졸업" 비고="">1943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수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군사영어학교 1기생 입교" 비고="">1945년 12월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소위 임관" 비고="">1946년 3월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육군본부 정보국 차장 임명" 비고="">1951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육군본부 병참감 임명" 비고="">1954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수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국학대학교 법학과 졸업" 비고="">1955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주미대사관 무관 임명" 비고="">1957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국방부 기관장 임명" 비고="">1959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국가재건최고회의 공보실장 임명" 비고="">1961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대통령 비서실장 임명" 비고="">1963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울산육영회 설립 및 이사장 취임" 비고="">1964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울산민간방송 설립" 비고="">1968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주일대사 임명" 비고="">1969년 10월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울산공과대학 및 병설 울산공업전문대학 2대 이사장 취임" 비고="">1970년 3월 12일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제6대 중앙정보부장 임명" 비고="">1970년 12월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제10대 국회의원선거 당선" 비고="">1979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활동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권력형 부정 축재자로 지목" 비고="">1980년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몰년 시기/일시" 내용="이후락 사망" 비고="">2009년 10월 31일<시간 식별자="울산:이후락 사망" />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출생지" 명칭="" 내용="" 비고=""> <지명 검색="1" 검색어="석천리">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 <공간 식별자="울산:석천리" 연관="간접" />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학교|수학지" 명칭="울산농림고등학교" 내용="" 비고=""> <지명>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204번길 49[<지명 검색="1" 검색어="신정동">신정동 167-8]<공간 식별자="울산:울산공업고등학교" 연관="간접" />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학교|수학지" 명칭="국학대학교 법학과" 내용="" 비고=""> <지명>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활동지" 명칭="군사영어학교" 내용="" 비고=""> <지명>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냉천동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활동지" 명칭="육군본부" 내용="" 비고=""> <지명>충청남도 계룡시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활동지" 명칭="주미대사관" 내용="" 비고=""> <지명>2450 Massachusetts Avenue N.W. Washington, D.C.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활동지" 명칭="청와대" 내용="" 비고=""> <지명>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지명>세종로 1]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활동지" 명칭="주일대사관" 내용="" 비고=""> <지명>동경도 항구 남마포(東京都港区南麻布) 1-2-5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활동지" 명칭="중앙정보부 본청" 내용="" 비고=""> <지명>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산1-5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묘소" 명칭="국립대전현충원" 내용="" 비고=""> <지명>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지명>갑동 3] <상세정보 유형="성격">관료 <상세정보 유형="성별">남 <상세정보 유형="본관"> <지명>학성 <상세정보 유형="대표 경력">중앙정보부장 <의견 /> <관련항목 ID="GC80001160">제10대 국회의원선거<관련항목 ID="GC80050051">신언중학교<관련항목 ID="GC80020043">신정고등학교 <본문> <소표제>[정의] <문단> <지명>울산 지역 출신 정치인으로 제3공화국 <인명 검색="0" UCI="G002+AKS-KHF_13BC15C815D76CB1917X0" 검색어="박정희">박정희 정권 시기의 핵심 인물. <소표제>[가계] <문단>본관은 <지명>학성(鶴城), 호는 <인명 검색="1" 검색어="이후락" 식별자="이후락">우석(又石). <소표제>[활동 사항] <문단> <인명 검색="1" 검색어="이후락" 식별자="이후락">이후락(李厚洛)[1924~2009]은 1924년 2월 23일 <지명 검색="1" 검색어="석천리">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에서 태어났다. 1943년 <기관 검색="0">울산농업고등학교[현 <기관 검색="1" 검색어="울산공업고등학교">울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3회]하였다. 이후 <지명>울산을 떠나 <기관>다치아라이비행학교[大刀洗飛行學校]에서 6개월 교육을 받았으며, 1945년 광복 이후 <기관>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입교하였다. 1955년 <기관>국학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고, <기관>국학대학교가 1971년 <기관>고려대학교에 편입되어 <기관>고려대학교 동문이 되었다. 1946년 3월 소위로 임관하였다. 1951년 육군본부 정보국 차장, 1954년 육군본부 병참감, 1957년 주미대사관 무관(武官), 1959년 국방부 기관장을 지냈다. 1961년 소장으로 예편하였다. 5.16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공보실장을 역임하였으며, <인명 검색="0" UCI="G002+AKS-KHF_13BC15C815D76CB1917X0" 검색어="박정희">박정희 정권의 책사 역할을 하였다. 이때부터 <인명 검색="0" UCI="G002+AKS-KHF_13BC15C815D76CB1917X0" 검색어="박정희">박정희 정권 동안 정부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1963년 대통령 비서실장, 1969년 10월 주일대사, 1970년 12월 제6대 중앙정보부장으로 임명되었다. 1972년에는 밀사로 <지명>북한 <지명>평양을 방문하여 <인명 검색="0" UCI="G002+AKS-KHF_13AE40C77CC131B1601X0" 검색어="김일성">김일성과 비밀 회담 후 7.4남북공동성명을 이끌어 냈다. 1973년 윤필용사건과 김대중납치사건에 대한 <기관>중앙정보부의 개입 의혹으로 해임되었다. 1979년 <항목연결 항목ID="GC80001160">제10대 국회의원선거[<지명>울산시·<지명>울주군, 무소속]에 당선되었으나 신군부 등장 이후 1980년 국회 해산에 의해 의원직을 박탈당하였으며, 권력형 부정 축재자로 지목되었다. <문단> <인명 검색="1" 검색어="이후락" 식별자="이후락">이후락은 고향이자 <인명 검색="0" UCI="G002+AKS-KHF_13BC15C815D76CB1917X0" 검색어="박정희">박정희 정권 시기 추진한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핵심 지역이던 <지명>울산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1964년 <기관>울산육영회를 설립하고 <기관>학성중고등학교, <기관 검색="1" 검색어="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기관 검색="1" 검색어="신언중학교">언양여자중학교[현 <기관 검색="1" 검색어="신언중학교">신언중학교], <기관 검색="0">우석고등학교[현 <기관 검색="1" 검색어="신정고등학교">신정고등학교] 등 <지명>울산 지역에 다수의 학교를 설립하였다. <기관>울산공과대학과 병설 <기관>울산공업전문대를 설립하고 1970년 2대 이사장에 취임하는 등 <지명>울산 지역 교육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이외에 <기관 검색="1" 검색어="울산MBC">울산문화방송의 전신인 <기관>울산민간방송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신군부의 등장 이후 권력형 부정 축재자로 지목되자 <기관>울산육영회에서 설립한 학교들은 <기관>문교부에 의해 1982년 모두 공립화되었다. 권력형 부정 축재자로 지목된 이후에는 특별한 활동은 보이지 않으며, 2009년 10월 31일 사망하였다. <소표제>[묘소] <문단>묘소는 <지명>국립대전현충원에 위치해 있다. <소표제>[상훈과 추모] <문단>상훈으로는 금성충무무공훈장, 청조근정훈장, 1등수교훈장, 2등보국훈장, <지명>미국 동성훈장(銅星勳章) 등을 받았다. <참고문헌> <문헌> <서명 검색어="울산대학교 30년사">『울산대학교 30년사』(<출판사항>울산대학교, 2000) <문헌> <서명 검색어="동창명부">『동창명부』(<출판사항>울산공업고등학교총동창회, 2010) <문헌> <서명 검색어="울산의 인물">『울산의 인물』(<출판사항>울산광역시, 2014) <문헌>한국기원(http://www.baduk.or.kr)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10585" 확장자="jpg" 대표="1">이후락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