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GC80010161" 유형="일반항목" 레벨="6"> <항목명> <대표항목명><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국가정원">태화강국가정원 <한글항목명>태화강국가정원 <한자항목명>太和江國家庭園 <영문항목명> <공식명칭>Taehwagang Grand Park <중국어항목명 /> <중문항목명> <메타데이터> <이칭별칭>태화강대공원|태화공원 <키워드>공원|근린공원|태화강|태화강공원|태화강대공원|태화강자전거도로|십리대숲|태화강자전거길|태화동 <대표분야>지리/인문 지리 <대표유형>지명/시설 <표준지역>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표준시대>현대 <분야>지리/인문 지리 <유형>지명/시설 <지역>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107 <시대>현대/현대 <집필자>정혜경|박소연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개관|개장 시기/일시" 내용="태화강대공원 개장" 비고="">2011년 5월<시간 식별자="울산:태화강대공원 개장" />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지정 시기/일시" 내용="태화강대공원 국가정원으로 지정" 비고="">2019년 7월 12일<시간 식별자="울산:태화강대공원 국가정원으로 지정" />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개칭 시기/일시" 내용="태화강대공원에서 태화강국가정원으로 개칭" 비고="">2019년 7월 12일<시간 식별자="울산:태화강대공원에서 태화강국가정원으로 개칭" />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최초 설립지" 명칭="태화강대공원" 내용="" 비고="">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동">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107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현 소재지" 명칭="태화강국가원" 내용="" 비고="">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동">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107 <공간 식별자="울산:태화강대공원" 연관="직접" /> <상세정보 유형="성격">근린공원 <상세정보 유형="면적">531,000㎡ <상세정보 유형="전화">052-229-6141 <의견 /> <관련항목 ID="GC80000497">공원<관련항목 ID="GC80010097">태화동<관련항목 ID="GC80010160">태화강<관련항목 ID="GC80000283">태화강살리기사업<관련항목 ID="GC80050286">태화강생태관<관련항목 ID="GC80020725">태화강대숲납량축제<관련항목 ID="GC80000677">십리대숲<관련항목 ID="GC80010080">십리대밭교<관련항목 ID="GC80010162">학성공원<관련항목 ID="GC80010147">서덕출공원<관련항목 ID="GC80002378">제2학성공원<관련항목 ID="GC80020189">선암호수공원<관련항목 ID="GC80020206">남산근린공원<관련항목 ID="GC80020235">울산대공원<관련항목 ID="GC80020241">성암공원<관련항목 ID="GC80030086">꽃나루공원<관련항목 ID="GC80030099">대왕암공원<관련항목 ID="GC80040296">구영공원<관련항목 ID="GC80040297">선바위공원<관련항목 ID="GC80040318">간절곶공원<관련항목 ID="GC80040338">옹기문화공원 <본문> <소표제>[정의]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동">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에 있는 근린공원. <소표제>[건립 경위] <문단>2000년도에 시작한 태화강수질개선사업으로 2006년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태화강이 1급수로 수질이 개선되고 <항목연결 항목ID="GC80000640">연어가 돌아오게 되면서, 밭과 쓰레기장으로 이용되던 <지명 검색="1" 검색어="삼호동">울산광역시 남구 삼호동과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동">중구 태화동 <지명 검색="1" 검색어="십리대밭">십리대밭 일대를 공원화하게 되었다. 2004년부터 2010년 5월까지 총사업비 1196억 원[사유지 매입비 1000억 원, 공사비 196억 원]을 투입, 친환경적인 생태 공원으로 조성하여 2011년 5월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대공원">태화강대공원(太和江大公園)으로 문을 열었다. <소표제>[구성] <문단>면적은 53만 1000㎡이다. 공원 내에는 250m 길이의 덩굴 식물 터널과 <지명 검색="1" 검색어="십리대숲">십리대숲이 있다. <지명>십리대밭 산책로와 생태 보존 서식지인 대나무생태원, 생태 습지, <지명>오산못, 초화원이 조성되어 있고, 각종 공연과 연극 및 체험 행사를 할 수 있는 <지명>느티나무마당과 <지명>오산광장, 만남의 광장, <지명>나비마당이 자리한다. 또한 징검다리와 보리밭이 있는 여울다리와 새터다리, 오산다리, 느티다리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원의 출입구는 두 곳으로 출입구 주변에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소표제>[현황]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국가정원">태화강국가정원은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동">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107번지에 있는 근린공원이다. <지명>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는 <지명>여의도공원 면적의 2.3배로, 물과 대나무, 유채, 청보리 등의 자연 경관을 즐길 수 있으며, 생태 환경이 고스란히 살아 있는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태화강을 따라 조성되어 있어 도심 속 휴식 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공원 입구에 있는 <기관>중구자전거문화센터에서 1인용 자전거와 다인용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어 하류의 억새밭, 중류의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국가정원">태화강국가정원·<지명>태화강철새공원·<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루공원">태화루공원, 상류의 <지명 검색="1" 검색어="선바위공원">선바위공원 등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태화강 주변을 둘러볼 수 있다. 봄·여름·가을 계절별로 꽃 축제가 열리며, 마라톤 대회와 각종 공연 및 프리마켓 등의 행사도 열린다. 인근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남산근린공원">남산공원과 <지명>울산시민공원, <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 <지명>문수월드컵경기장, <기관 검색="1" 검색어="울산대학교">울산대학교 등이 있다. <문단>2019년 7월 12일 국가정원 2호로 지정되었으며, <지명>태화강국가정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참고문헌> <문헌> <서명 검색어="우리의 삶속 늘 함께하는 울산의 도시공원">『우리의 삶속 늘 함께하는 울산의 도시공원』(<출판사항>울산광역시, 2016) <문헌> <서명 검색어="울산의 젖줄 태화강">「울산의 젖줄 태화강」(<출판사항>『울산매일』, 2007. 7. 19.) <문헌>대한민국 구석구석(http://korean.visitkorea.or.kr) <문헌>태화강(http://www.ulsan.go.kr/taehwagang)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2910" 확장자="jpg" 대표="1">태화강대공원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3068" 확장자="jpg" 대표="1">태화강대공원 안내소<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3069" 확장자="jpg" 대표="1">태화강대공원 입구 광장<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3070" 확장자="jpg" 대표="1">태화강대공원 대나무생태원 입구<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3071" 확장자="jpg" 대표="1">태화강대공원 대나무생태원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8932" 확장자="jpg" 대표="1">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8934" 확장자="jpg" 대표="1">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8935" 확장자="jpg" 대표="1">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10062" 확장자="jpg" 대표="1">태화강대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