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GC80020235" 유형="일반항목" 레벨="6"> <항목명> <대표항목명><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 <한글항목명>울산대공원 <한자항목명>蔚山大公園 <영문항목명> <공식명칭>Ulsan Grand Park <중국어항목명 /> <중문항목명> <메타데이터> <이칭별칭 /> <키워드>공원|대공원|근린공원|울산대공원|장미 축제|불빛 축제|나비원|옥동 <대표분야>지리/인문 지리 <대표유형>지명/시설 <표준지역>울산광역시 남구 옥동 <표준시대>현대 <분야>지리/인문 지리 <유형>지명/시설 <지역>울산광역시 남구 대공원로 94[옥동 146-1] <시대>현대/현대 <집필자>정혜경|박소연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개관|개장 시기/일시" 내용="울산대공원 1차 개장" 비고="">2002년 4월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준공 시기/일시" 내용="울산대공원 준공" 비고="">2006년 4월<시간 식별자="울산:울산대공원 준공" />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개관|개장 시기/일시" 내용="울산대공원 2차 개장" 비고="">2006년 4월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최초 설립지" 명칭="울산대공원" 내용="" 비고=""> <지명>울산광역시 남구 대공원로 94[<지명 검색="1" 검색어="옥동">옥동 146-1]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현 소재지" 명칭="울산대공원" 내용="" 비고=""> <지명>울산광역시 남구 대공원로 94[<지명 검색="1" 검색어="옥동">옥동 146-1]<공간 식별자="울산:울산대공원" 연관="직접" /> <상세정보 유형="성격">근린공원 <상세정보 유형="면적">3.69㎢[총면적]|0.87㎢[시설지 면적]|2.81㎢[녹지 면적] <상세정보 유형="전화">052-271-8818 <상세정보 유형="홈페이지"> <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http://www.ulsanpark.com) <의견 /> <관련항목 ID="GC80000497">공원<관련항목 ID="GC80010162">학성공원<관련항목 ID="GC80002378">제2학성공원<관련항목 ID="GC80010147">서덕출공원<관련항목 ID="GC80010161">태화강국가정원<관련항목 ID="GC80020206">남산근린공원<관련항목 ID="GC80020241">성암공원<관련항목 ID="GC80030086">꽃나루공원<관련항목 ID="GC80030099">대왕암공원<관련항목 ID="GC80030109">울산테마식물수목원<관련항목 ID="GC80040120">공룡발자국공원<관련항목 ID="GC80040296">구영공원<관련항목 ID="GC80040297">선바위공원<관련항목 ID="GC80040318">간절곶공원<관련항목 ID="GC80040338">옹기문화공원<관련항목 ID="GC80020189">선암호수공원<관련항목 ID="GC80020096">옥동<관련항목 ID="울산:울산대공원" 대상="웹사이트">울산대공원 <본문> <소표제>[정의]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옥동">울산광역시 남구 옥동에 있는 근린공원. <소표제>[건립 경위]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蔚山大公園)은 ‘공해 도시 <지명>울산’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고, 도시민들에게 고품격 녹색 공간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95년 11월 <지명>울산시와 <기관>SK가 <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 조성 협약을 맺어, <지명>울산시는 부지 매입과 행정 절차를 이행하고 <기관>SK는 공원 시설에 10년간 1020억 원을 투자하기로 약정하였다. 1997년 2월 <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 기본 계획을 설계하여 그해 10월 공사를 시작, 2002년 4월 1차 지역을 개장하였다. 2003년 10월 2차 조성 시설 마스트플랜을 제정하여 2004년 5월 2차 조성 시설 기공식을 가졌고, 2006년 4월 <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을 준공하였다. <소표제>[구성] <문단>총면적은 3.69㎢로, 이 중 시설지 면적이 0.87㎢이고 녹지 면적이 2.81㎢이다. 2002년 4월 개장한 1차 지역에는 호랑이와 용, 연꽃을 테마로 하는 32개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2006년 개장한 2차 지역에는 <지명>나비원과 <지명>장미계곡, 어린이동물농장, 테마식물원, <지명>sk광장 등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공원의 시설은 테마별로 크게 6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자연 생태 시설은 느티나무산책로와 자연학습원, 테마초화원, 연못, 분수, 생태여행관, 장미원, 동물원,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사계절꽃밭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문화생활 시설은 문화 광장과 옥외 공연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번째는 생활 체육 시설로 다목적 운동장과 청소년광장, 길거리농구장, 수영장, 헬스장, 풋살경기장이 있다. 네 번째는 놀이 여가 시설로 산림 놀이 시설과 환경 테마 놀이 시설, 피크닉장, 물놀이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섯 번째는 공연 전시 시설, 여섯 번째는 호국 시설로 조성되어 있다. <소표제>[현황]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울산대공원">울산대공원은 <지명>울산광역시 남구 대공원로 94[<지명 검색="1" 검색어="옥동">옥동 146-1번지]에 있는 근린공원이다. 기존 지형과 자연 자원을 그대로 살린 각각의 시설들을 갖추고 있다. 제야 행사를 비롯하여 6월의 <항목연결 항목ID="GC80020294">울산대공원장미축제, 어린이날 행사, 걷기 대회, 12월의 울산대공원빛축제, 곤충 체험 교실 등 봄부터 가을까지 매주 다양한 축제와 행사들이 개최되고 있어 연간 500만 명 이상이 공원을 이용하고 있다. 개방 시간은 오전 5시~오후 11시이며, 입장료는 무료이나 정문·동문·남문 주차장 및 일부 전시와 관람, 편의 시설은 유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인근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남산근린공원">남산공원과 <지명>울산시민공원,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루">태화루(太和樓),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대공원">태화강대공원, <지명>태화강철새공원, <지명 검색="1" 검색어="태화강">태화강 둔치, <지명>문수월드컵경기장, <기관 검색="1" 검색어="울산대학교">울산대학교 등이 있다. <참고문헌> <문헌> <서명 검색어="우리의 삶속 늘 함께하는 울산의 도시공원">『우리의 삶속 늘 함께하는 울산의 도시공원』(<출판사항>울산광역시, 2016) <문헌>울산대공원(http://www.ulsanpark.com)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M00051" 확장자="flv" 대표="1">도심 속의 공원 울산대공원 장미축제<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0229"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남문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0230"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장미원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5207"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환경테마 놀이시설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5208"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장미계곡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5209"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SK광장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5210"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남문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5211"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산림놀이시설<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5212" 확장자="jpg" 대표="1">울산대공원 호수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