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GC80051256" 유형="일반항목" 레벨="6"> <항목명> <대표항목명><지명 검색="1" 검색어="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한글항목명>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한자항목명>蔚州靑松寺址三層石塔 <영문항목명> <공식명칭>Three-story Stupa of Cheongsong Temple Sites, Ulju <중국어항목명 /> <중문항목명> <메타데이터> <이칭별칭 /> <키워드>청송사|신라 석탑 양식|영축사지 석탑|청동사리함|청동여래입상 <대표분야>종교/불교 <대표유형>유적/탑과 부도 <표준지역>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표준시대>고대/삼국 시대|고대/남북국 시대 <분야>종교/불교 <유형>유적/탑과 부도 <지역>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 1420 <시대>고대/삼국 시대/신라|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신용철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문화재 지정 일시" 내용="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382호로 지정" 비고="">1963년 1월 21일<시간 식별자="울산: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382호로 지정" /> <상세정보 type="시간" 유형="문화재 지정 일시" 내용="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보물로 재지정" 비고="">2021년 11월 19일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현 소재지" 명칭="청송사지" 내용="" 비고=""> <지명 검색="1" 검색어="율리">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 1420 <공간 식별자="울산:울주 율리 청송사 터 2" 연관="간접" />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원소재지" 명칭="청송사지" 내용="" 비고=""> <지명 검색="1" 검색어="율리">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 1420 <상세정보 type="공간" 유형="출토 유물 소장처" 명칭="국립경주박물관" 내용="" 비고=""> <지명>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지명>인왕동 76] <상세정보 유형="성격">탑 <상세정보 유형="양식">삼층석탑 <상세정보 유형="재질">화강암 <상세정보 유형="크기(높이)">530㎝[높이] <상세정보 유형="소유자">국유 <상세정보 유형="관리자"> <지명>울산광역시 울주군 <상세정보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보물 <의견 /> <관련항목 ID="GC80051232">울주 율리 청송사 터<관련항목 ID="GC80051237">청송사지 기와 가마 유적<관련항목 ID="GC80051259">청송사지부도<관련항목 ID="GC80000045">청송사지 청동여래입상<관련항목 ID="울산: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대상="문화재청">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蔚州 靑松寺址 三層石塔)<관련항목 ID="E0056507" 대상="민족문화대백과사전">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본문> <소표제>[정의]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율리">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 <지명 검색="1" 검색어="청송사 터|청송사지">청송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 <소표제>[개설]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蔚州靑松寺址三層石塔)은 전형적인 <지명>신라 석탑 양식으로, 이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과 상륜의 일부가 남아있는 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8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소표제>[형태] <문단>이중 기단에 삼층의 탑신을 지닌 전형적인 <지명>신라 석탑으로, 석탑 꼭대기 장식인 노반(露盤)[탑머리 받침] 위의 상륜 부분이 없어진 것을 제외하면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석탑 받침 부분인 기단은 지대석[바닥돌] 위에 쌓았다. 상층 기단과 하층 기단 면석은 각각 1개와 2개의 탱주[기단 가운데 기둥모양의 새김]로 구분하였다. 상층 기단과 하층 기단 면석 위에 올려놓은 덮개돌[갑석] 위에 각각 모가 난 2단 받침을 놓아 윗부분을 받치게 했다. 탑신부는 몸돌[탑신석]과 지붕돌[옥개석]이 각각 1석으로 모두 6매이다. 1층 몸돌에는 위로 가면서 약간 좁아지는 안쏠림 기법이 나타난다. 각층 옥개 받침은 5단이며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하나 비교적 짧은 편이며, 모서리 끝부분이 살짝 들려 있다. 각층 옥개석 모서리 끝부분 좌우에는 풍경을 달았던 구멍이 남아 있다. 상륜(相輪)[머리 장식] 부분에는 노반만 남아 있다. <소표제 class="new">[특징] <문단>전형적인 <지명>신라 석탑 양식을 지닌 탑이면서 전체적으로 안쏠림이 나타난다. 또 하층 기단 윗단의 곡선 처리[몰딩]와 1층 탑신 받침의 방식이 다른 <지명>신라 석탑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방식을 보이고 있어 수도를 벗어난 지방화된 <지명>통일신라 석탑 양식의 단면을 볼 수 있다. 1962년 탑을 완전 해체할 당시 상층 기단부에서 청동사리함과 함께 청동여래입상 1구, 유리 구슬 16점, 수정 곡옥 1점, 관옥 1점 등의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지명 검색="1" 검색어="청송사지 삼층석탑">청송사지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치는 <지명>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소표제>[현황]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청송사 터|청송사지">청송사지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지명>울산에 남아 있는 불탑으로 유일하게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기단과 몸돌이 일부 떨어져 나가거나 약간의 파손이 있지만, 전체적인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소표제>[의의와 평가] <문단> <지명 검색="1" 검색어="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은 제작 기법이나 각 부분의 비례에서 <지명>경주를 벗어난 지방화 석탑 양식을 보여준다. 인근에 있는 <지명>영축사지 석탑과 함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헌> <서명 검색어="한국의 사찰문화재">『한국의 사찰문화재』-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Ⅱ(<출판사항>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10)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1" 확장자="jpg" 대표="1">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전경<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2" 확장자="jpg" 대표="1">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측면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3" 확장자="jpg" 대표="1">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정면 <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4" 확장자="jpg" 대표="1">우바이 백화당 낭옥 부도<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5" 확장자="jpg" 대표="1">우바이 양대덕화 송덕비<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6" 확장자="jpg" 대표="1">송덕비와 부도<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7" 확장자="jpg" 대표="1">해명당 지안선사 지비<삽도 지정="0"><시청각 ID="GC800P01578" 확장자="jpg" 대표="1">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외부 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