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홍망

대표시청각
button
관련항목 페이징
  • URL Copy
  • twitter
  • facebook
항목 ID GC80000198
한자 申弘望
영어공식명칭 Sin Hongmang
이칭/별칭 망구(望久),고송(孤松),낙선당(樂善堂)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울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채은,한종민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0년연표보기 - 신홍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7년 - 신홍망 진사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38년 - 신홍망 강릉참봉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39년 - 신홍망 별시 문과 병과 급제, 승정원주서 겸 춘추관기사관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52년 - 신홍망 유배
    활동 시기/일시 1657년 1월 19일 - 신홍망 울산도호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59년 - 신홍망 풍기군수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73년연표보기 - 신홍망 사망
    부임|활동지 울산도호부 - 울산광역시
    유배|이배지 평해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묘소|단소 신홍망 묘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풍리리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아주
    대표 관직 울산도호부사
[정의]
조선 후기 울산도호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망구(望久), 호는 고송(孤松)·낙선당(樂善堂). 증조할아버지는 신응규(申應奎)이고, 할아버지는 신몽득(申夢得)이다. 아버지는 승지를 지낸 신지제(申之悌)이며, 어머니는 조지(趙址)의 딸 함안조씨(咸安趙氏)이다. 아내는 이민환(李民寏)의 딸 영천이씨(永川李氏)이다.

[활동 사항]
신홍망(申弘望)[1600~1673]은 1627년(인조 5)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1638년(인조 16) 강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는데, 이후 1639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주서 겸 춘추관기사관(承政院注書兼春秋館記事官)의 관직을 제수 받았다. 그러나 얼마 후 어머니의 병환으로 사직하였으며, 후에 성균관전적·병조좌랑·사간원정언·예조좌랑·전주판관·사헌부지평을 거쳐 1656년(효종 7) 말 울산도호부사에 임명되었다.

1657년(효종 8) 1월 19일 울산도호부에 부임한 신홍망은 기장으로 편입된 하미면을 다시 울산으로 환속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울산부선생안(蔚山府先生案)』[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에 따르면, 신홍망은 조정에서 지방 고을민의 고충을 파악하고자 할 때 하미면을 기장에 이속시켜 버린 일로 울산의 고을민들이 고통 받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를 올렸다. 당시 경상감사였던 서원리(徐元履)는 하미면을 울산으로 환속하는 문제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입장을 효종(孝宗)에게 올렸고, 효종은 신하들이 논의한 바대로 처리할 것을 하달하였으나 비변사에서 이를 지체시켰다고 전한다. 그리고 『울산부선생안』에는 신홍망의 선정을 기려 고을민들이 우암에 선정비를 세웠다는 내용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 다만 신홍망은 수군 훈련이 이루어질 때 생겨난 문제로 인해 울산도호부사직에서 파직되었고, 그후 1659년 풍기군수에 임명되어 부임하였다. 1664년(현종 5) 이후 강원도도사, 성균관사예, 춘추관편수관, 승문원판교에 제수되었지만 출사하지 않았으며, 고향인 의성에서 낙선당을 짓고 여생을 보냈다.

[학문과 저술]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인 『고송집(孤松集)』은 후손들이 1739년(영조 15) 간행하였다. 『고송집』은 3권과 부록 2권으로 구성된 2책으로, 시(詩)와 소(疏), 제문(祭文) 등이 수록되었다. 신홍망은 사헌부지평으로 재임 중이던 1652년(효종 3) 이시매(李時楳)를 모함하였다 하여 일주일간 평해(平海)[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로 유배를 갔는데, 이때의 일기 기록인 『장사일록(長沙日錄)』도 전한다.

[묘소]
묘는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풍리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부사 신홍망 청덕선정비(府使申弘望淸德善政碑)가 지금의 울산광역시 중구 우정동에 세워졌다가 후에 중구 북정동의 울산동헌 경내로 옮겨졌다.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에 1984년 후손들이 주도하여 건립한 고송 신선생 유허비(孤松申先生遺墟碑)가 있다.

0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집필항목 검색 닫기
향토문화전자대전 로고 참고문헌 검색 닫기